목록웹 개발/이론 (2)
Develop
Response Entity: HttpEntity를 상속받아서 구현한 클래스: HttpRequest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포함한 클래스 HttpEntity 는 header(헤더)와 body(바디)를 가지고 있고ResponseEntity는 status(상태)를 가지고 있다 즉, 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받았으므로HttpHeader(헤더), Httpbody(바디 = 전달정보), Httpstatus(상태) 를 모두 가지고 있다 사용시 3개를 모두 담고있어야 하는건 아니지만status(상태)는 무조건 있어야한다. ResponseEntity를 사용하는 이유- Controller에서 주로 하던 객체return 방식은 Http 응답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ResponseEntity를 사용..

학원에서 배운 내용 * 답글 작성하기 re_ref : 답글의 그룹번호(관련번호) 일반글 : 글번호와 동일(bno == re_ref) 답글 : 원글의 그룹번호와 동일 (re_ref==re_ref) re_lev : 답글의 들여쓰기(레벨) 일반글 : 항상 0 (들여쓰기 없음) 답글 : 원글(기준)의 re_lev + 1 re_seq : 답글의 순서(시퀀스) 일반글 : 항상 0 (일반글이 가장 위쪽에 위치) 답글 : 원글(기준)의 re_seq + 1 [select bno,subject,re_ref,re_lev,re_seq from itwill_board;]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bnosubjectreflevseq --------------------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