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웹 개발/JavaScript & jQuery & JSTL (9)
Develop

로그인을 할 때마다 무의식적으로 엔터를 치는데 로그인이 안되길래 구현방법을 찾아보았다。 폼 안에서 로그인이나 비밀번호나 상관없이 엔터를 치면 로그인 시도를 하도록 만들었다 폼부분 로그인 회원가입 | 아이디찾기 | 비밀번호찾기 제이쿼리부분 $('#us_login_form').keypress(function(e){ if(e.keyCode === 13){ $('#login').trigger('click'); } }); 13이 enter 라고 한다。 참고한 글 enter입력시 로그인 참고 https://bourbonkk.tistory.com/67 #JavaScript Login 페이지에서 Enter 누르면 실행 근래에는 개인적인 프로젝트로 프론트엔드도 구현하고 있는데요 로그인이나, 검색 등의 페이지에서 ENTE..

자바스크립트 / 제이쿼리(jQuery) 에서 정규식 사용하기 : JavaScript 나 jQuery 에서 정규식을 사용하려면 RegExp 생성자 또는 슬래시(/) 표기법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. RegExp 생성자 사용시 var regExp = new RegExp('hello'); 슬래시(/) 사용시 var RegExp = /hello/; 나는 주로 슬래시(/)를 이용하여 사용할 예정이다. 정규식을 만든 후 String 개체의 내장 메서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. 주로 match(), test(), replace(), search() 함수를 사용한다. 1. match() : 문자열에서 정규식과 일치하는 항목을 검색하고 일치하는 항목의 배열을 반환한다. 만약 일치하는 값이 없다면 null을 반환한다. ..
replaceAll 전체 치환하기 - join 함수 이용 자바스크립트는 replace() 함수 사용 시 한번만 치환된다. var a = "2008-08-28"; var b = a.replace("-",""); alert(b); // 200808-28 아래와 같이 split 함수와 join 함수를 쓰면 이러한 문제가 해결 된다. var a = "2008-08-28"; var b = a.split("-").join(""); alert(b); // 20080828 참고한 글 정규 표현식(regexp) 예 모음 > jQuery | 제일컴퓨터학원 (kunwi.co.kr) 정규 표현식(regexp) 예 모음 > jQuery | 제일컴퓨터학원 기본 문법 RegExp.exec(string)RegExp.test(stri..

목적 JSTL 의 fmt 태그를 이용하여 날짜 출력 형식을 변경하려고 한다. 1. 먼저 맨 위에 taglib 적어주기 위의 3개중에 중간에 있는 것이다. 2. 그 다음 formatDate 형식에 맞춰서 입력하면 끝이다 기본형태 자주쓰는 형태 나는 이렇게 입력했다 출력 결과 형식은 원하는대로 잘 나오니 표의 칸 길이를 조절해봐야겠다 +) 월은 M(대문자) 쓰는 것 잊지말기 탈퇴일만 m(소문자)로 입력해보았다 출력 결과 탈퇴일을 보면 2월에 탈퇴했는데 10월이라고 나온다. 이렇게 원하는 값과는 다른 값이 나오므로 조심하자 참고한 글 [JSP] JSTL 태그로 날짜 형식 변경하기 — 기록하는 공간 (tistory.com) [JSP] JSTL 태그로 날짜 형식 변경하기 오라클에서 날짜를 저장할 때는 주로 DAT..

user의 id를 중복체크하는 유효성 검사를 하는 기능을 구현중이었다. 근데 ajax를 통해서 입력이 끝나면 (= 다른 곳으로 포커스를 옮기면 : blur event 이용) 중복검사를 하도록 기능을 구현하던 도중에 ajax에서 controller까지는 잘 가지만 다시 return하여 ajax로 오는 동작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. return값은 String 이었는데 문자가 깨져서 ???로 오는 현상이었다. 이렇게 콘솔창을 통해서 확인하였음 검색하다보니 String반환시에는 한글이 깨져서 올 수 있다고 한다. 이 때 produces = "application/text;charset=utf8" 이 코드를 controller에 추가해주면 된다. 코드는 method방식 다음에 넣었다. 아래 코드 참조 // ..

disabled의 기능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글 내용 input 태그에 disabled="disabled" 라고 되어있으면 이렇게 회색으로 떠서 수정하지 못한다. 만약 disabled를 설정해주지 않았다면 이렇게 흰색으로 떠서 클릭시 커서가 표시되고 안에 텍스트 값을 수정할 수도 있다 (input태그 말고도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) jQuery 로 disabled 효과를 주거나 제거하는 방법 $('#bo_title').attr("disabled",true); $('#bo_title').attr("disabled",false); 여기서는 id를 이용했지만 다른 요소들을 사용해서 효과를 변경할 수도 있다 참고한 글 [javascript/jquery] jquery로 disabled 효과 적용/해제 방법..
form 요소의 값 가져오기 / 설정하기 1) id 이용 2) class 이용 3) name 이용 3가지 방법 모두 결과는 같다 - var형의 name변수에는 test라는 값이 들어감 - tel의 값은 010-0000-0000에서 010-1111-1111 으로 바뀜 value값을 이용하여 요소를 찾을 수도 있다 ex) value값이 test인 input태그의 id 가져오기 $('input[value=test]').attr("id"); 그러나 하나씩 찾기 힘들때도 있으므로 ex) value값이 test이고 id에 123이 포함된 input태그의 id 가져오기 $('input[value=test][id*=123]').attr("id"); 참고한 글 [jQuery] input value 가져오기 (tistor..

페이지 이동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1. location.href="이동할 주소"; 2. location.replace("이동할 주소"); if(data == 1){ alert("글 삭제 성공"); location.replace("../user/userMain"); location.href="../user/userMain"; }else{ alert("글 삭제 실패"); location.reload(); } 차이점이 있는데 1번 방법은 정보를 가지고 이동하는 것이라 이전페이지로 되돌아 갈 수 있다 2번 방법은 redirect 방법으로 새로 페이지를 로드하는 방법이라 뒤로가기가 불가하다 나는 글을 삭제 후 이동하려는 것이므로 repace를 사용할것이다.